2020년 다자녀 특별공급 혜택 자격 조건 승인권자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15% 지도 가능합니다.
기간에 따른 청약 가점 제도는 이제 청약저축을
시작한 젊은 세대에겐 불리하게 적용되는데
지금의 청약 제도는 무주택 자들에게 많은
혜택을 주기 위해 개선에 개선을 거듭에
거듭을 했지만 아직 부족한 게 사실이죠.
청약 가점: 청약통장 가입 기간, 부양가족 수
무주택기간 이렇게 세 가지 가점을 기준으로
하며 84점이 만점이에요.
민영주택 (가점제) | |||
구분 | 무주택 기간 | 부양 가족수 | 청약통장 가입 기간 |
배점 | 최저: 2점(1년 미만)~ 최대: 32점(15년 이상) | 최저:5 전(0명)~최대: 35점(6명) | 최저: 1점(6개월 미만)~ 최대: 17점(15년 이상) |
민영주택 가점제
무주택기간: 15년 이상: 32점
청약통장 가입 기간 15년 이상: 17점
부약 가족 수 6명 이상: 35점 이렇게 세 가지
모두 더하면 32+17+35=84점이죠.
무주택 기간: 혼인을 하지 않은 상태면 만 30세부터
기간을 인정하게 되므로 45세가 되어서야
만점으로 됩니다.
하여 최근 개정안을 보면 가점제의 비율을 높여
투기 근절을 목적으로 무주택 자들의 내 집
마련에 혜택이 있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
젊은 세대분들에겐 불리하게 작용되는 것 또한
사실이에요.

특별공급 이란?
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사회계층 중
무주택자의 주택 마련을 돕기 위해 일반공급과
청약 경쟁 없이 주택을 분양받을 수 있게 도와주는
정부 제도인 거죠.
특별공급의 당첨 회수를 1세대 당 평생 1회로
제한되는 점도 유의하셔야 합니다.
가점이 낮은 분들은 특별공급 제도에 관심을
가지시면 도움이 될듯합니다.
젊은 분들은 다자녀 특별공급 또는 신혼부부
특별공급에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.

다자녀 특별공급 혜택 자격 조건
청약자격: 입주자 모집공고일 기준 조정 대상 지역,
투기과열지구(서울의 경우) 2년 이상 거주한 사람
이 자격에 부합됩니다.
빈 조정 지역에 해당하는 수도권의 경우엔 1년 이상
거주자는 1순위 자격이 되며 무주택 세대주 와
세대원도 청약이 가능합니다.
-미성년 자년 3명 이상(태아, 입양자녀 포함)입니다.
무주택세대 구성원: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되어 있는
직계 존속, 이 존속을 뜻합니다.
청약자 배우자의 직계존비속을 포함해 세대 전원이
무주택이었을 때입니다.
청약통장 가입 6개월 이상: 약정일에 월 납입금 6회
이상이나 지역별 예치금액을 만족시켜야 합니다.
(단위: 만 원)
지역별 예치금 | ||||
구 분 | 85㎡ 이하 | 102㎡ 이하 | 135㎡ 이하 | 모든 면적 |
서울/부산 | 300 | 600 | 1,000 | 1,500 |
기타 광역시 | 250 | 400 | 700 | 1,000 |
기타 시/군 | 200 | 300 | 400 | 500 |

소득기준 및 자산기준 알아보기
소득기준: 공공 주택 특별법이 적용되는 국민주택은
해당 세대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
가구당 소득의 120% 이하인 자로 합니다.
자산기준: 부동산(건물, 토지) 215,500,000이하
자동차 27,640,000이하 가 기준이에요.
-당첨자 발표일이 동일한 주택 전체에 대해 1세대 당
1인만 신청 가능해요.
-당첨자 발표일이 동일한 주택 전체에 대해
1인 1건만 청약 가능합니다.
-1인 2건 이상 청약을 하시면 청약하신 모두가
무효 처리되니 이점 명심하셔야 합니다.
-동일 주택에 대해 1인 특별공급과 일반공급 두 가지
모두 신청할 수 있지만 특별공급 당첨이 되면
일반공급 당첨자 선정에서 제외됩니다.

선정 방법입니다.
아래 배점 기준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

미성년 자녀수가 많을수록 가점 점수를
높게 받으며 영유아 자녀일수록 유리해요.
무주택기간과 해당 시, 도 거주 기간이 10년
이상일 때 최고점이 됩니다.
서울특별시는 거의가 투기과열지구로 청약을
하시더라도 85 ㎡ 이하는 가점제 100% 비율로
당첨자를 정하기에 무주택자일 때 당첨을 기대해
보실 수 있습니다.
| 85㎡ 이하 | 85㎡ 초과 |
투기과열지구 | 가점제: 100%, 추첨제: 0% | 가점제: 50%, 추첨제: 50% |
청약과열 지역 | 가점제: 75%, 추첨제: 25% | 가점제: 30%, 추첨제: 70% |
수도권 내 공공 주택 지구 | 가점제: 100%, 추첨제: 0% | 가점제: 50%(~0%), 시장 등이 50% 이하로 조정 가능 추첨제: 50%(~100%) |
85㎡ 초과 공공건설 임대주택 | | 가점제: 100%, 추첨제: 0% |
그 외 주택 | 가점제: 40%(~0%), 시장 등이 40% 이하로 조정 가능 추첨제: 60%~100% | 가점제: 0%, 추첨제: 100% |
다자녀 특별공급: 청약통장을 소유한 3명
이상의 자녀를 둔 무주택 세대에서 청약
하실 수 있어요.
국민, 민영주택 두 가지 모두 청약하실 수 있으며
아파트 건설양의 10%로 정해져 있는데
승인권자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15% 지도
가능합니다.
-특별공급의 당첨 기회는 평생 1회입니다.
-투기과열지구 내에 9억 원을 초과하는 주택 제외
댓글